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콩 재배기술 By 관리자 / 2018-07-13 AM 11:14 / 조회 : 2537회 | ||||||||||||||||||||
---|---|---|---|---|---|---|---|---|---|---|---|---|---|---|---|---|---|---|---|---|
콩 재배기술파종기 콩은 8∼1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발아를 시작하지만 콩을 심는 시기는 그 지방의 늦서리(晩霜)를 피하여 평균 온도 13℃ 이상일 때 심는 것이 좋다. 너무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낮아 콩종자가 발아하는데 오래 걸리므로(10℃에 파종시 20일), 발아도중 썩거나 종자가 생명력을 잃게 될뿐 아니라 새, 쥐들의 피해를 받기 쉽고, 발아되더라도 콩이 너무 무성하게 자라 쓰러지는 등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4월 중하순∼5월 중하순, 가을콩은 6월 중하순∼7월 상순, 중간형은 5월 하순∼6월 상순이 파종 적기이다. 파종량 적파(5월 중하순)는 10a(300평)당 20,000∼22,000개체 입모확보를 목표로 하여 나물콩은 2.5∼4㎏, 장류콩은 5∼7㎏, 대립 검정콩이나 올콩은 8∼10㎏ 정도 파종하되, 비옥도에 따라 20∼30% 범위내에서 가감하는 것이 좋으며, 키가 작은 단경종일 경우에는 파종량을 많게 하고, 과번무하거나 생육기간이 긴 품종인 경우에는 파종량을 줄여야 한다. 만파(6월 중하순)은 300평당 30,000∼33,000개체 입모를 목표로 하여 나물콩은 4∼5㎏, 장류콩은 8∼10㎏, 대립종인 올콩이나 검정콩은 10∼12㎏정도 파종하되, 품종의 특성과 비옥도를 고려하여 파종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생태형과 재식밀도 콩의 초형을 개화후에도 계속 키가 크는 무한신육형과 개화기후에는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유한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분지의 발생 정도에 따라 무분지형, 소분지형, 다분지형 등 다양 한 초형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가 적고 성숙기가 빠른 품종은 배게 심는 것이 좋고, 성숙기가 늦고 키가 크면서 분지가 많은 다분지형 품종은 다소 드물게 심는 것이 증수에 유리하다. 는시기와 재식밀도 우리나라의 콩을 심는시기는 1모작 적기파종과 2모작 늦뿌림파종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식밀도는 생육일수가 긴 적기파종 보다는 생육기간이 짧은 늦뿌림 파종에서 배게 뿌려야 할 것이며 각 파종기에 따른 적정 재식거리는 단작으로 일찍 파종할 경우 영양생장이 길어져 무성하게 자라게 되므로 이랑나비 60cm에 포기사이 15단작으로 일찍 파종할 경우 영양생장이 길어져 무성하게 자라게 되므로 이랑나비 60cm에 포기사이 15∼20cm 정도로 하고, 2모작 늦뿌림으로 심을 경우에는 이랑나비 60cm에 포기사이 10cm로 하되 1모작이나 2모작 모두 포기당 2개체를 세우는 것이 표준이다. 표 1. 콩 재식밀도에 따른 수량성
다작으로 일찍 파종할 경우 영양생장이 길어져 무성하게 자라게 되므로 이랑나비 60㎝에 포기사이 15∼20㎝ 정도로 하고, 2모작 늦뿌림으로 심을 경우에는 이랑나비 60㎝에 포기사이 10㎝로 하되 1모작이나 2모작 모두 포기당 2개체를 세우는 것이 표준이다. 비옥도와 재식밀도 재배토양의 비옥도에 따라 콩 생장량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척박지에서는 다소 배게 심는 것이 좋고, 비옥한 곳에서 드물게 심는 것이 유리하다. 시비량 및 시비방법 10a당 3요소 적정시비량은 숙전(熟田)에서 질소 3.6kg, 인산 6.4kg, 카리 5.5kg이고 개간지에서는 질소 7.2kg, 인산 30.2kg, 칼리 17.0kg 이지만, 토양의 비옥도에 따라 시비량을 가감하여 조절해야 한다. 최근에는 콩 전용복비(8-14-12)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이를 10a당 50kg을 주면 질소 4, 인산 7, 칼리 6kg의 3 요소 균형시비가 되며, 단비 보다 오히려 증수효과가 높다. 관련사이트 : http://www.cheongduwon.com/kongcenter/html/02kong/kong02.html |
총 412개
번호 | 제목 | 파일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182 | 서목태의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프럭토즈폴리머를 이요한 노인성 골질환 개선 효과 및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 연구(강순아 2004) | 문갑순 | 540 | 2018-07-22 | |
181 | 한국인의 대두식품/이소플라본 섭취와 건강증진에 관한 영양생태학적 연구(이민준 2004) | 문갑순 | 619 | 2018-07-22 | |
180 | 콩나물 부패병에 강한 고품질 나물콩 품종 육종(박의호 2003) | 문갑순 | 477 | 2018-07-22 | |
179 | 콩 기능성성분 ISOFLAVONE 함량 증가를 위한 분자유전학 및 생리생화학적 기초 연구(이재헌 2003) | 문갑순 | 428 | 2018-07-22 | |
178 | 고 생리활성 콩 품종 육성을 위한 분자육종기술개발(이석하 2003) | 문갑순 | 412 | 2018-07-22 | |
177 | 우량 나물콩 품종육성 및 콩나물의 기능성 제고(황영현 2003) | 문갑순 | 406 | 2018-07-22 | |
176 | 식물면역활성제(elicitor)를 이용한 콩나물의 고품질화 기술 개발 | 문갑순 | 597 | 2018-07-22 | |
175 | 가공식품 중 유전자재조합 콩 검사법 개발 (김해영 2003) | 문갑순 | 427 | 2018-07-22 | |
174 | 콩의 생리 기능성이 성인병 예방과 치유에 미치는 효과 및 임상적 허용(권태완 2003) | 문갑순 | 412 | 2018-07-22 | |
173 | 유전자재조합 대두 및 옥수수의 검출을 위한 면역분석법 개발(손동화 2003) | 문갑순 | 692 | 2018-07-22 |